무엇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핵심 측근이자 지난 대선 경선과정에서 문재인 대통령에 이어 2위를 차지함으로써 차기 유력 대권주자로 떠오른 안 전 지사가 성폭행으로 형사처벌에 직면한 사건 자체에 말문이 막힌 분위기이다.
중앙당의 한 관계자는 “뭐라 할 말이 없다. 지방선거 전략을 처음부터 다시 짜야 할 상황”이라며 “뭘 어떻게 해야 할지 혼란스럽다”고 당내 분위기를 전했다.
민주당은 일단 이날 오전 ‘젠더폭력대책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어 안 전 지사에 대한 엄중한 처벌을 촉구하는 한편 별도의 성폭력범죄 신고상담센터를 설치해 이번 사태를 포함해 국회 전반의 성폭력 문제를 조사하기로 결정했다.
이런 가운데 이번 사태가 진보 진영 전반의 도덕성 문제로 전선이 확대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한 관계자는 “도덕적 우위에 있다고 주장하는 진보 진영에서 상당한 상처를 입은 것”이라며 “야당도 이번 기회를 잡아 지방선거에서 반전 분위기를 마련하려 하지 않겠느냐”고 우려했다.
여당이 대책마련에 분주한 사이 야권은 공세수위를 한껏 끌어올렸다. 자유한국당 장제원 대변인은 “겉과 속이 다른 좌파 진영의 이중적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사건이자,안희정발핵폭탄지선판뒤흔드는미투반토막 민주당의 성 문제에 대한 도덕적 해이를 여실히 보여주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자신들이 얼마나 이중적인지, 자신들이 빠져있는 집단적 도덕적 해이의 민낯을 돌이켜 볼 필요가 있다”며 이번 사태의 전선 확대의 연기를 피웠다. 뿐만 아니라 현 정권의 도덕성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홍지만 대변인은 논평에서 “도대체 문재인 대통령 주변에는 ‘미투 인사’가 왜 이렇게 많은가. 지금 여권엔 미투 당사자와 부역자가 판을 친다. 탁현민 행정관을 보고, 문 정권을 지지한 진보 인사들을 보라”라고 주장했다.
바른미래당은 안 전 지사에 대한 엄정한 수사와 더불어 여권의 사과를 요구했다.
지상욱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안 전 지사는 정치활동 중단 선언에 그치면 안 된다. 검찰에 스스로 출두해 수사 받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태경 최고위원은 “안 전 지사는 현재의 권력을 구성하는 친노세력 핵심 중의 핵심이기 때문에 안 전 지사 사건은 권력에서 자유로운 특검이 수사해야 공정하게 될 수 있다”고 공세 수위를 끌어올렸다.
안 전 지사를 비롯해 보좌진 성추행 사건 등 미투 바람이 정치권에 본격적으로 옮겨 부는 상황에서 이번 사태의 여파가 어디까지 확산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